728x90
반응형

인프라/네트워크

    [Windows] Telnet 클라이언트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말아탕입니다.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교육으로 인해 자주 접속을 못하는데 꾸준히 하도록 하겠습니다.오늘은 간단한 예제로 windows 10에서 Telnet 클라이언트를 접속하기 위한 설치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1. CMD 실행 win + R -> cmd or 찾기 -> cmd를 하여 실행합니다.    2. telnet 명령어 입력  windows 기준 기본적으로 텔넷 설치가 되지 않으면 위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출력이 됩니다.   3. 텔넷 클라이언트 찾기  제어판을 실행하여  프로그램 및 기능을 클릭합니다.  화면 최하단의 '텔넷 클라이언트'를 클릭합니다.  4. 진행 및 확인 검색 중  완료가 되었습니다!   5. telnet 다시 접속 완료가 되면 cmd에서 다시 한번 telnet ..

    이중화 이해

    안녕하세요. 말아탕 입니다. 오늘은 이중화 개념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자 서론 이중화 정의 이중화 목적 이중화 동작 방식 이중화 정의 이중화(다중화) 시스템의 일부에 어떠한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에 대비하여, 장애 발생 다음에도 시스템 전체의 기능을 계속 유지하도록 예비 장치를 평상시부터 백업으로서 배치해 운용하는 일이다. 엄밀한 의미에서는 예비 1개를 두면 이중화, 예비 2개를 두면 삼중화이지만, 흔히 다중화를 이중화라고도 한다. (출처 : 위키백과) 이중화(다중화)란 무엇일까? 장애 방지나 부하를 분산(부하분산 = 로드밸런싱) 하기 위해 같은 장비를 2개로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서버 이중화 개념에서 말하면,운영 중인 서비스의 안정성을 위해 각종 자원(하드웨어, OS, 미들웨어, DB 등)을 이중 혹..

    캡슐화(encapsulation), 역캡슐화(decapsulation)

    안녕하세요. 말아탕 입니다. 지난번 OSI 7 Layer를 다루면서 나왔던 네트워크 캡슐화, 역캡슐화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https://seoinsung.tistory.com/42 OSI 7 Layer 이해 안녕하세요. 말아탕 입니다. 오늘은 자주 만나게 되는 OSI 7 계층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서론 OSI 계층 정의 OSI 7 계층 동작 원리 OSI 7 Layer 설명 OSI 계층 정의 OSI 계층(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 seoinsung.tistory.com 서론 캡슐화(encapsulation) 역캡슐화(decapsulation) 캡슐화, 역캡슐화 필요성 캡슐화(encapsulation) 캡슐화(encapsulation) OSI 계층모델에서 사용자..

    OSI 7 Layer 이해

    안녕하세요. 말아탕 입니다. 오늘은 자주 만나게 되는 OSI 7 계층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서론 OSI 계층 정의 OSI 7 계층 동작 원리 OSI 7 Layer 설명 OSI 계층 정의 OSI 계층(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OSI 모형(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SI 7 계층이라고 한다. 흔히들 각 계층을 L(ayer)로 줄여서 간편하게 부른다. 예를 들어 1계층인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의 경우 L1, 5계층인 세션 계층(Session layer..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이해

    안녕하세요. 말아탕 입니다. 오늘은 CDN(Content Delivery Network)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서론 CDN 정의 CDN 동작 원리 CDN 도입 효과 CDN 정의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또는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CDN))는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노드를 가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에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콘텐츠 병목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DN의 목적은 높은 사용성과 효율로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전달함에 있다. CDN은 오늘날 인터넷에 존재하는 컨텐츠의 상당수..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이해

    안녕하세요. 말아탕 입니다. 오늘은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서론 LDAP란 LDAP 구조 LDAP vs AD LDAP란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경량 디렉터리 액세스 프로토콜(영어: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LDAP)은 TCP/IP 위에서 디렉터리 서비스를 조회하고 수정하는 응용 프로토콜이다. 디렉터리는 논리, 계급 방식 속에서 조직화된, 비슷한 특성을 가진 객체들의 모임이다. 가장 일반적인 예로는 전화 번호부(telephone directory)가 있는데 가나다 순의 일련의 이름을 가지고 있고, 이름마다 전화번호와 주소가 포함..

    프록시(Proxy), 프록시 서버(Proxy Server)란?

    안녕하세요. 말아탕 입니다. 오늘은 프록시, 프록시 서버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서론 프록시 서버란 프록시 서버 기능 프록시 서버 종류 프록시 서버란 프록시 서버(Proxy Server) 프록시 서버(영어: proxy server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가리킨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중계기로서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켜 '프록시', 그 중계 기능을 하는 것을 프록시 서버라고 부른다. (출처 : 위키백과) 프록시(Proxy) :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중계기 개념으로,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 프록시 서버(Proxy Server)란 무엇일까?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거쳐 다른 네..

    게이트웨이(Gateway) 이해

    안녕하세요. 말아탕 입니다. 오늘은 게이트웨이(Gateway)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서론 게이트웨이란 게이트웨이 vs 라우터 게이트웨이 확인 게이트웨이란 게이트웨이(Gateway) 게이트웨이(gateway, 문화어: 망 관문)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나 소프트웨어를 두루 일컫는 용어, 즉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이다. 넓은 의미로는 종류가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로의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또한 게이트웨이를 지날 때마다 트래픽(traffic)도 증가하기 때문에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쉽게 예를 들자면 해외여행을 들 수 있는데 해외로 나가기 위해서 꼭 통과해야 하는 공항이 게이트웨이와 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