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말아탕 입니다.
오늘도 그림으로 이해하는 AWS 구조와 기술 책을 읽고 이해한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자(홍보 X)
4장
서버 서비스 Amazon EC2

서버 서비스 Amazon EC2
Amazon EC2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 약자이고 컴퓨터 용량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 서버에 필요한 세트를 클라우드에서 빌릴 수 있다.
- EC2는 매니지드 서비스가 아니다.
- 다양한 서버 시스템의 조합(인스턴스 유형)과 OS 및 소프트웨어 조합(AMI)을 선택하면 된다.
- 바로 생성할 수 있고, 바로 삭제할 수 있다.('불확실성이 많은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AMI)
- Amazon EC2는 쉽게 서버와 서버에 필요한 것 전부를 제공한다.
※ 서버 및 네트워크 운영은 AWS가 담당하지만, OS를 포함한 필요한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고 운영해야 한다.
EC2에 서버를 생성하는 장점
누구든지 바로 사용 | 여러 가지 선택 |
1. 클릭 한 번으로 생성할 수 있다. 2. 준비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3. 나중에 변경하기 쉬우므로 일단 시작할 수 있다. |
1. CPU와 메모리 사양이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다. 2. OS나 소프트웨어의 종류가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다. 3. 연계하고 싶은 기능도 충실하게 되어 있다. |
백업을 취득하기 쉽다 -> 가상화 기술
어디서든지 접속 -> 클라우드
물리적으로 다른 여러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 리전과 가용영역
EC2 사용
- EC2는 관리 콘솔에서 작업할 수 있다.
- AWS에 로그인을 한다.
- EC2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 EC2에 접속한다
-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설정한다
- EC2 서비스에는 인스턴스, AMI, 키 페어 등의 기능이 있다.
- 인스턴스는 다양한 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 인스턴스 요금 = 인스턴스 사용량 + EBS 요금 + 통신 요금 + 그 외 옵션
AMI
- AMI(Amazon Machine Image)란 소프트웨어 구성을 기록한 템플릿이다.
- 가상이미지
- 같은 서버를 생성하거나 삭제하기 쉽다.
- AMI를 사용하면 단 몇 분만에 동일한 서버를 만들 수 있다.
- AMI는 OS 이미지를 제공한다.
- AMI는 경우에 따라 무료와 유료가 있다.(ex : 개인이 생성하거나 마이크로소프트 제공하는 경우)
- AMI는 개인이 만들 수 있는데, 마켓플레이스에 배포가 가능하다.
인스턴스 유형
- 인스턴스 유형이란 머신의 용도이다.
- CPU,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크 용량 등이 용도에 맞게 조합되어 있다.
- 인스턴스는 유형과 크기를 선택하는데, 이 두 가지의 조합이 성능을 의미한다.
- 표기 예시 : t2.micro -> t2는 인스턴스 유형, micro는 인스턴스 크기를 뜻 한다.

EBS
- Amazon EBS(Amazon Elastic Block Store)는 영구적인 블록 스토리지 볼륨이다.
- 블록 스토리지 볼륨은 데이터를 바이트 블록 단위로 디스크에 저장하는 일반적인 방식이다.
- EBS는 인스턴스와 조합하여 사용하는데, HDD와 SSD 선택할 수 있다.
- HDD, SDD 모두 IOPS 성능을 보장하는 유형과 스루풋에 최적화된 유형 등이 있다.
- EBS 기능
- 탄력적 볼륨 : 볼륨 크기 조정
- 스냅샷 : 시점 데이터 저장
- 데이터 라이프 사이클 매니저 : 스냅샷 생성, 삭제
- 최적화 인스턴스 : 읽기, 쓰기 고속화
- 암호화 : 스냅샷을 암호화
- EBS의 요금은 단가 X 저장시간이다.
※ 같은 AWS 서비스인 Amazon S3는 오브젝트 스토리지 방식 채용
키 페어
- 로그인할 때 인증으로 사용
- 공개키와 비밀키로 된 한 쌍을 말한다.
- 자신 외에도 공개된 키를 '공개 키'
- 자신만 알고 있는 키 : '비밀 키(개인 키)'
- SSH로 서버에 접속할 때 인스턴스 쪽에서 공개키를 지정하고, 클라이언트 쪽 소프트웨어에 '키 페어 파일'을 비밀키로 설정하여 사용한다.
Elastic IP 주소
- Elastic IP 주소는 AWS가 제공하는 정적인 공인(Public) IPv4 주소이다.
- EC2 인스턴스는 정지 후 다시 시작하면 공인 IP주소가 바뀌게 된다.
- 고정 IP 주소를 인스턴스와 연결해야 하고, 이때 고정 IP로 사용되는 것이 Elastic IP 주소이다.
- Elastic IP 주소는 AWS 계정에 연결되어 있다.(인스턴스 단위가 아닌 계정 단위의 계약)
- 인스턴스에 이미 할당되어 있는 공인 IP 대신 Elastic IP 주소를 할당하면 이전의 IP(인스턴스에 할당하기 위해 확보한 IP주소)로 되돌아간다. -> 이미 할당되어 있는 IP주소는 Elastic IP 주소로 사용할 수 없다.
- 쉽게 말하자면 고정 IP(정적인 IP) 주소로 Elastic IP(탄력적인 IP) 주소를 제공한다.
- 소유한 IP가 중지된 인스턴스나 분리된 네트워크에 연결된 경우에도 시간당 요금이 부과된다.
ELB
- ELB(Elastic Load Balancing)는 AWS가 제공하는 로드 밸런서이다.
- 로드 밸런서 = 부하 분산 장치
- ELB 요금 = 사용 요금(사용 단가 X 시간) + LCU 요금(LCU 사용량 X LCU 단가 X 시간)
ELB의 종류
1. ALB(Application Load Balancer)
HTTP 및 HTTPS에 가장 적합한 로드 밸런서이다. OSI 모형의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동작한다. 인스턴스와 로드 밸런서 사이의 통신은 암호화가 가능하다. 분배 대상으로 정적 IP 주소를 설정하고 그 IP를 가진 호스트로 전송할 수 없다.
★ 지원 프로토콜 : HTTP, HTTPS
2. NLB(Network Load Balancer)
OSI 모형의 전송 계층에서 동작한다. ALB 만큼 상세하게 분배는 못하지만, 분배 대상으로 정적 IP 주소를 설정할 수 있고 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그대로 서버에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지원 프로토콜 : TCP, TLS
3. CLB(Classic Load Balancer)
오래된 유형의 로드 밸런서이다. 지원하는 프로토콜이 많다. 현재 많이 안 쓰인다.
★지원 프로토콜 : TCP, SSL/TLS, HTTP, HTTPS
스냅샷
- 스냅샷(snapshot)이란 어떤 시점의 서버 디스크 상태를 통째로 보존한 파일이나 폴더 등의 집합이다.
- 개인이 AWS에서 AMI를 만들기 위해 스냅샷을 사용하기도 한다.
- AWS는 Amazon EBS 볼륨의 데이터를 스냅샷으로 보존할 수 있다.
- 스냅샷은 관리 콘솔에서 볼륨 단위(스토리지 전체)로 선택하여 생성한다.
오토 스케일링
- 오토 스케일링이란 서버의 액세스 상태에 따라 서버 대수를 늘리거나 줄이는 기능이다.
- EC2 외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오토 스케일링도 있다.
- AWS는 EC2 Auto Scaling을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CloudWatch에서 스케일링에 참고할 수 있다.
- 오토 스케일링의 요금은 무료이다.
참조
직접 구매 한 그림으로 이해하는 AWS구조와 기술 책
'인프라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azon VPC 이해 (0) | 2024.04.13 |
---|---|
Amazon S3 이해 (0) | 2024.04.06 |
AWS를 사용하기 위한 도구 (0) | 2024.03.23 |
AWS 이해를 위한 Cloud&Network 구조 이해 (0) | 2024.03.16 |
AWS(Amazon Web Service) 기초 지식 이해 (0) | 2024.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