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말아탕 입니다.
2024년 첫 글을 3월 돼서야 남기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리눅스(Linux) 디렉터리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디렉토리 아님
서론
리눅스(Linux) 디렉터리 구조의 이해
디렉터리 기능(역할)
자주 쓰는 디렉터리 관련 명령어
리눅스(Linux) 디렉터리 구조 이해
- 리눅스(linux) 디렉터리 구조
디렉터리 구조란 무엇일까?
리눅스에서 모든 것은 파일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렉터리 : 파일의 한 종류로써 여러 개의 하위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주소들을 담고 있다.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계층적으로 구성을 하게 되는데 이것을 트리구조 라고 하며, 용도에 따라 구분이 되고 이를 파일 시스템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리눅스(Linux) 디렉터리 기능(역할)
디렉터리 기능(역할)
/ : 최상의 디렉터리(루트 디렉터리) - 디렉터리의 뿌리
/bin :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종류에는 ls, cat, rm, vi 등이 있다), binary의 약자이다.
/sbin : 시스템 관리자가 쓰는 명령어(재부팅, 포맷), System-binary의 약자이다.
/usr : 여러 컴퓨터에서 공유할 수 있는 파일을 보관, Windows의 Program Files와 같은 폴더라고 할 수 있다.
(주로 새로 설치되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etc :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각종 환경 설정 파일)
/var : 시스템 로그(/var/log)에 저장이 되며,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디렉터리면서 데이터가 변경되면 이곳에 저장이 된다.
/tmp : 임시 저장 디렉터리
/proc : 메모리에서 현재 동작중인 프로세스 정보 확인
/sys : 시스템 하드웨어 정보 or 가상 파일 시스템
/root : ROOT(관리자) 계정의 홈 디렉터리
/home : 일반 사용자들의 디렉터리
/dev : 물리적인, 하드웨어 장치들의 모음, Device의 약자이다.
/mnt : CD ROM, NFS 등을 마운트 할 때 사용하는 디렉터리
자주 쓰는 디렉터리 명령어
- 디렉터리 관련 명령어
그 외
디렉터리 생성 : mkdir
디렉터리 삭제 : rmdir
디렉터리 복사 : cp -r
디렉터리 잘라내기 : mv 등이 있다.
참조
https://slowsteadystat.tistory.com/17
[Linux]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초간단 살펴보기(+ 기본 단축키)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루다 보면 로컬 컴퓨터가 아닌 서버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서버에 분석 환경을 구축하고 관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리눅스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리
slowsteadystat.tistory.com
https://hi-melona.tistory.com/38
[Linux]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는 트리 구조로 되어 있다. 디렉토리 하단에 존재하는 디렉토리를 "서브 디렉토리"라고 한다. 디렉토리는 파일을 담고 있다. 명령어 디렉토리 이동
hi-melona.tistory.com
'인프라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Kali Linux에서 Python 파일 실행하기 (1) | 2024.12.14 |
---|---|
[Linux] nice, renice 이해 (0) | 2022.12.20 |
[Linux] 디스크 쿼터(diskquota) 이해 (0) | 2022.11.28 |
Linux(리눅스) vs Windows(윈도우) (0) | 2022.11.17 |